Odds Ratio는 질병 위험도, 사회적 현상, 소비자 행동 분석 등 많은 영역에서 사용된다. 또한, Logistic Regression에서 계수를 해석할 때 사용한다.
Odds(오즈)는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사건이 일어나지 않을 확률로 나눈 값이다.
Odds는 확률이 아닌, 확률의 비율이다. (odds is a ratio of probabilities)
$\displaystyle Odds\ of\ E = \frac {P(E)} {P(E)^c} = \frac {P(E)} {1-P(E)}$ (단, $0 < P(E) < 1$)
Contingency table(분할표)는 두 개 이상의 범주형 변수 간 관계를 요약하는 표이다.

Odds Ratio(오즈비, 승산비)는 odds의 비율이다.
$\displaystyle OR = \frac {a/b} {c/d} = \frac {ad} {bc}$
Relative Risk(상대위험도)는 특정 요인에 노출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질병 발생률의 비율이다.
$\displaystyle RR = \frac {a/(a+b)} {c/(c+d)}$
Simpson’s Paradox(심슨의 역설)는 데이터의 세부 그룹 별로 일정한 추세나 경향성이 나타나지만, 전체적으로 보면 그 추세가 사라지거나 반대 방향의 경향성을 나타내는 현상이다.